• 평면표현1, 2 / Basic Painting1, 2

    회화의 조형언어 및 표현기법 습득을 통해 조형과 시각표현의 근간을 체계적으로 익히고 대상을 보는 시각을 확립한다. 드로잉 유화 아크릴을 통해 대상의 관찰과 사고 표현을 연구하고 회화의 기본요소를 습득한다.


  • 미디어표현1, 2 / Computer Graphics1, 2

    미디어아트의 기술적, 표현적 특성을 이해하고, 2D 프로그램과 3ds Max를 사용하여 입체구성과 모델링을 작품에 응용, 실험적이고 창조적으로 구현한다.

  • 입체조형1, 2 / Sculpture Fundamentals1, 2

    흉상과 반신상 인체 Modelling을 통해 인체구조를 이해, 조형성을 파악하고 인체를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특히 인체 모델링의 사실적 표현에 역점을 둔다.

  • 현대작가예술론1, 2 / Contemporary artist and Art Theory1, 2

    현대작가들의 예술론을 통해 미국모더니즘 이후 현대미술사, 작가 프로세스 process, 예술작품구조를 이해한다. 토대가 되는 문화 경제와의 상호관계를 파악 현대예술 속 예술형식과 작가간의 본질적 특성과 구조를 이해한다.

  • 실크스크린과Printing1, 2 / Silkscreen and Printing1, 2

    실크스크린 판화 컴퓨터 프린팅의 기본적인 원리 및 특성을 습득한다. 다양한 프린팅 실험을 통한 작품제작과 실용적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 회화1, 2 / Painting1, 2

    평면회화의 다양한 표현적 요소를 중급에서 심화과정까지 창의적으로 시각화 시킨다. 회화의 형식과 기법을 이해시키고, 토론과정을 통해 사고 표현방법과 시각언어 상호관계를 인식, 창의력을 극대화 시킨다. 에스키스와 다양한 페인팅 실험을 통해 학생 개개인의 독창성과 개별성있는 작품제작을 유도한다.

  • 회화3, 4 / Painting3, 4

    예술작품의 다양한 표현적 요소를 고급에서 심화과정까지 창의적으로 발전시킨다. 회화의 개념원리와 구성요소를 탐구하고 개별적인 시각언어의 점검과 개발을 통해 개인의 독창적 표현력을 발전시킨다. 또한 자유로운 실험을 통해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표현방법을 추구하며 주어진 주제의 접근과 분석을 통하여 독창적인 회화를 만들어 간다.

  • 회화연구1, 2 / Painting study1, 2

    예술작품의 다양한 시각적 사고와 표현적 요소를 전문예술가 과정을 통해 창의적으로 작품화한다. 현대미술의 형식과 다양한 표현방법을 이해한 후 현대회화만의 독창적인 작업방향을 가지고 각자의 작품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실습과 반복된 크리틱을 통하여 개인의 작업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논점들을 비평적인 관점에서 토의하며 개인별 작업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모색한다. 특히 발전시킨 소재와 주제, 발상과 의도, 양식과 기법 등의 문제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여 독창적인 표현방식을 탐색함으로써 완성도 있는 예술작품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 개념과드로잉1 / Concept and Drawing1

    드로잉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새롭게 파악하고, 조형의 기본원리로부터 기능적 표현기법을 습득하여, 자신만의 창의적 사고와 표현 능력을 발전시킨다. 대상을 관찰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특징을 표현하는 동시에 사고와 논리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에스키스 과정으로 필수적인 실기과정이다.

  • 개념과드로잉2 / Concept and Drawing2

    예술작품 창작에서 개념형성과 제작과정을 드로잉을 통해 표현한다. 회화를 포함한 다양한 매체와 예술의 경향을 가늠할 수 있는 확장된 개념으로서 현대 창작드로잉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회화 설치 등과 같은 개개인의 작품제작에 앞서 현대적인 개념과 논리를 만들어 가는 수업과정으로 시청각자료와 크리틱을 병행하여 진행한다.

  • 사진과매체표현1, 2 / Photography and Media 1, 2

    현대예술에 있어서 사진 매체 영상의 중요성과 그 흐름을 파악하고 사진기법 및 매체 그리고 동영상 편집 툴을 통해 복합매체아트의 개념, 기술, 표현의 특성을 이해하고 작품에 응용하도록 한다.

  • Contemporary art1, 2

    현대 미술의 동향과 흐름을 이해하고 각 개인의 관심에 개념을 부여해가면서 동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형식의 작업을 만들어 나가는 데 중점을 두는 수업이다. 기존 현대회화의 미학적 논리와 예술형식에 종속되지 않는 동시대적인 표현의 전위성을 복합적 통합적으로 체험하게 한다. 개인의 개성표현을 통해 자유롭고 독창성 있는 작품을 구현한다.

  • 뉴미디어아트1, 2 / New Media Art1, 2

    3ds Max 및 연관 프로그램을 이용 뉴미디어 아트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그 미술사적 배경을 연구한다. 다양한 뉴미디어 아트의 기술적, 표현적 특성을 이해할 뿐 만 아니라 자기 작품에 응용하여 실험적이고 창조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 오픈아트프로젝트1, 2 / Open art project 1, 2

    현대미술이론을 중심으로 크리틱을 병행하는 수업으로 기존의 회화요소와 표현방법들을 자신만의 이론과 논리로 결합시켜 전문적 작품으로 만들어내기 위한 실용적 과정 프로젝트이다. 자유로운 개방형 프로젝트를 통해 다양한 예술현장경험과 현대미술이론 습득, 아방가르드적 작업 프로세스를 경험하도록 한다.

  • 뉴아트워크숍1, 2(캡스톤디자인) / New Art Workshop1, 2(Capstone Design)

    졸업 후 문화예술 참여를 주제로 학생들이 팀을 구성하여 실무능력 배양,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위한 아이디어를 기획하고 산업체와 협업을 통해 예술 관련 솔루션 프로젝트(Solution Project)를 진행한다. 예술 관련 창업 기획안과 시제품을 제작하고 각자 적성에 맞는 문화예술현장을 구조적으로 파악한다. 또한 새로운 매체와 혼합 장르의 작품들을 분석하고 사례별 연구를 통해 현대예술의 흐름과 변화를 실용적 방식으로 비평과 토론 분석한다.

  • 아티스트인큐베이팅1, 2 / Artist Incubating1, 2

    졸업반 학생들이 졸업 후 미술현장에 진출, 작가로 성장 할 수 있는 제반적인 것들을 단계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인큐베이팅 수업이다. 개인작품이론과 크리틱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 기획서 작성, 프리젠테이션 등의 실무를 익히고 정보를 교류할 수 있다.

  • 메타버스와 디지털아트 / Metaverse and digital art

    메타버스(metaverse) 또는 확장 가상 세계는 가상, 초월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세계, 우주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를 합성한 신조어다. 메타버스 안에서의 디지털아트 NFT 등을 연구한다.

  • 모션그래픽디자인 / Motion graphic design

    애니메이션 기술을 이용하여 영상속에 다양한 움직임이나 회전의 환영을 만들어내는 2D부터 3D까지의 그래픽제작 교과목이다.

  • 컴퓨터와조형1, 2, 3, 4, 5, 6 / Computer Graphics and Plastic1, 2, 3, 4, 5, 6

    3D 컴퓨터그래픽을 활용하여 보다 고차원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3D 컴퓨터그래픽 툴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며 다른 프로그램과 접목시켜 완성도 있는 프로젝트를 수행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조소1, 2 / Sculpture1, 2

    인체 반신상, 전신상 등의 Modelling을 통해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고 조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이를 통하여 양감, 비례, 동세, 공간감 등과 같은 조소적 기본 개념인에 관하여 실재적으로 체험하며 연구한다.

  • 금속조형1, 2 / Metal Sculpture1, 2

    금속의 재료적 성질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기본적인 도구와 기법(용접기법)에 관하여 실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창의적인 조각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현대조각1,2 / Contemporary sculpture1,2

    목재, 금속, 오브제 등 다양한 재료와 기법의 실습과 이해를 바탕으로 공간과 장소성 및 사회적 맥락에 맞는 작품을 기획하여 제작한다. 이를 통해 조각 예술의 고유한 조형 감각과 이론적 측면의 균형을 맞추어 전문성을 확보한다.

  • 융합 미디어아트1,2 / Multimedia art1,2

    디지털 미디어의 기술적, 표현적 특성의 이해를 토대로 자기 작품에 응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활용 능력을 키운다. 특히 비물질적 표현뿐만 아니라 다매체를 이용한 물리적 공간에서의 연출방법을 통해 종합적인 예술작품 제작에 있어 창의적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캐스팅과 재료연구1, 2 / Casting and Study of Materials1, 2

    작품의 구현을 위한 다양한 몰드(Mold)와 캐스팅(Casting)기법 그리고 재료들에 관하여 학습하고 실습한다. 추가적으로 동시대의 산업적인 재료(실리콘, 레진 등)와 디지털 기법(3D printing, Laser Cutting, CNC)을 탐구하고 실험한다. 이를 통해 작품제작에 있어서 필수적인 표현의 확장과 독창성을 도모한다.

  • 환경조각1,2 / Environmental Sculpture1,2

    환경조각의 현주소를 면밀히 검토하며 특히 도시공간에서의 조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바람직한 환경조각에 관해 연구한다. 동시에 미래의 변화된 자연과 도시환경을 위한 확장된 형태의 환경조각에 관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 융합예술 표현과 해석1,2 / Intermedia Art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1,2

    현대 조각의 주요한 담론과 동시대의 문화와 기술의 융합적 흐름을 연구한다. 예술현장에서 통용되는 개념과 표현의 전위성을 통합적으로 다룬다. 작품의 형식과 내용의 관계, 사회적 미학적 맥락을 자신의 작품과 연계하여 사고하는 것을 연습하며 작품을 진행한다.

  • 창작작품연구1, 2 / Study of Art1, 2

    이론과 크리틱을 기반으로 개인작품을 심화 제작하고 포트폴리오, 기획서 작성 등의 실무와 졸업작품에 관계된 포괄적인 사항에 관해 실험하고 연구한다.

  • 인터렉티브와 미디어아트1,2 / Interactive & Media Art1,2

    관객과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피지컬 컴퓨팅(Physical Computing)기술 및 다매체의 다양한 원리와 특성에 관하여 실험하고 학습하여 자기 작품에 창조적으로 응용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